안산순례길

프로젝트




우리는 여전히 무엇을 해야 할지 계획을 세우지 못한다.
그저 안산을 걷고 또 걷는다.
우리는 안산의 아픔을 계속 떠올린다.
한 작가는 말한다.
“순례길을 걸을 때, 내 곁에 희생자 가족이
함께 걷고 있다고 생각하겠다.”


안산순례길2015 ‘순례에 부쳐’ 중


안산순례길은 자신의 몸으로 할 수 있는 극한까지 종교적 성지를 찾아 길을 걸으며 깨달음을 얻는 순례자들의 행렬처럼,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자신의 몸을 움직여, 고통의 감각을 직접 체험하며 세월호를 기억하고 사유하는 프로젝트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5월에 진행되었다.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로 구성된 콜렉티브 안산순례길개척위원회가 기획하고 제작했다.



<안산순례길>의 아티스트들은 순례길 내내 안산이라는 도시를 구성하는 리듬들 위에 가능한 작은 틈들을 만들면서 내내 순례길에 함께 동참했다. 안산 곳곳에 서 있는 그들의 몸은 슬픔을 토로하고 분노를 표출하며 순례길에 참여한 관객들과 감정적 연대를 꾀하는 몸이기보다, 질문하는 몸이었다. 순례길 위에서 참가자들에게 다가와 안산의 설화들을 이야기해주는가 하면, 무심하게 공간을 가로질러 뛰어가고, 가장 최소한의 메타포로 공간 곳곳에 서 있었다. 그들이 섣불리 안산의 슬픔을 서사화하지 않은 이유는, 이미 이 공간 자체가 어떤 연극의 언어로도 서술할 수 없게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 이경미, <연극평론> 2015 여름호, “무엇을 어떻게 기록하고 기억할 것인가. 세월호 참사 1주기와 한국연극”
구석구석 안산의 역사적인 흔적들을 연결한 이 순례길은 아이들이 살았던 고잔동을 지나 단원고등학교까지 연결됐다. 이미 시들어 버린 꽃들이 놓여 있는 아이들의 책상과 교실은 텅비어 있는 부재의 공간이었다. 꿈길을 걸어 온 것처럼 하루가 지났다. 슬픔에 동참하는 애도의 예술은 무엇이어야 하는지 걷는 내내 생각했다.
— 2015년 순례자 백OO님 페이스북에서
순례 후, 평상시 내 삶으로 돌아온 지금 이 길을 다시 마주하고 있다. 이제 마음속으로 안산을 걷는다. “우리가 가진 유일한 인생은 일상이다.”라는 카프카의 말을 자주 떠올린다. 세월호 참사 이전이라면, ‘일상’이 지금과는 다른 의미로 다가왔을 것이다. 이제는 나의 일상 속에 타인의 일상이 같이 쌓인다. 그들의 시간이 나의 시간이기도 하다는 것을 안산을 걸으며, 옆 사람을 보며 새기게 되었다.
— 전강희 , [연극+人] 92호 2016년 5월 26일, “안산순례길, 아이들의 길을 걷다 [현장리포트] 안산국제거리극축제 <안산순례길2016>”